날씨가 갑자기 추워지면서 수도권에는 폭설에 가까운 눈이 내렸는데요. 뉴스에 교통사고 소식이 많이 나오면서 차량 관리에도 신경 써야 할 날씨가 되었습니다. 오늘은 그중 셀프로 혼자서도 정비할 수 있는 타이어 공기압 셀프로 해결하는 방법인데요. 겨울철과 여름철에 권장되는 타이어 공기압이 다르니 아래 내용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타이어 공기압 셀프로 해결
자동차 계기판에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이 떠 있습니다. 설정을 바꿔서 타이어 공기압 회면으로 바꾸니 타이어 4개 중에 2개의 공기압이 저압입니다. 그리고 나머지도 공기압이 낮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왜 뜨는 것일까요?
타이어 공기압 경고등은 타이어 공기의 압력 수치가 낮아서 표시되는 현상입니다.
타이어에 문제가 생겨서 공기압이 낮아졌을까요? 아닐 확률이 높습니다. 여름철이나 겨울철이면 타이어 내부에 있는 공기가 온도에 따라 수축하거나 팽창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압력 수치의 변화가 있을 수 있습니다.
타이어 공기압 셀프 주입 방법
요즘 타이어 공기압을 넣으러 카센터나 블루핸즈 또는 주유소를 방문하면 정비 매니저가 소정의 비용을 요구하는 곳이 많습니다. 특히 현대자동차 공식 정비 센터인 블루핸즈는 접수를 해서 정식적으로 매니저에게 정비를 받으면 5,000원을 내야 합니다.
하지만 셀프로 하면 비용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접수하지 않고 그냥 셀프로 직접 하고 가면 됩니다.
1️⃣ 자동 에어 주입기에 본인의 차량 적정 공기압을 세팅합니다.
차량 별로 적정 공기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대 팰리세이드는 40 psi입니다. 적정 표준공기압은 아래에서 따로 다루겠습니다. 시동을 끄고 자동 에어 주입기에 본인 차량의 적정 표준 공기압을 입력합니다.
2️⃣ 타이어 고무패킹을 돌려 에어 펌프 호스를 체결합니다.
공기를 주입하고자 하는 타이어의 휠 쪽을 보시면 아래 빨간 박스처럼 고무패킹이 있습니다. 고무패킹을 돌려서 에어 펌프 호스를 체결합니다. 집게 부분을 손으로 쥐어서 힘껏 꼽으시면 됩니다.
3️⃣ 타이어 공기압이 가득 찰 때까지 기다렸다가 삐~ 부저음이 울리면 호스를 뺍니다.
에어펌프호스를 체결하면 현재 내 타이어의 공기압 수치가 표시되고 바로 공기가 호스를 통해 나옵니다. 바람소리가 나면서 공기가 들어가다가 40 psi가 되면 삐 ~ 부저음이 울리면 호스를 빼시면 됩니다. 그리고 다시 처음에 분리했던 고무패킹을 돌려 끼우시면 됩니다.
4️⃣ 타인을 위해 다 사용한 호스를 가지런히 정리
공기압 주입을 마치셨으면 에어펌프 호스를 잘 말아서 장비 아래에 잘 걸어둡니다. 통행에 방해가 될 수도 있기도 하고 다음 사용자가 편리하도록 걸어두는 것은 기본 매너라고 생각합니다.
여기까지 타이어 공기압 셀프 주입 방법입니다. 참 쉽죠?
차량별 타이어 적정 표준 공기압
보통 운전석 문을 열었을 때 차제에 스티커가 붙어 있습니다. 스티커 내용에 전륜과 후륜의 적정 타이어 공기압이 표시되어 있습니다. 단위는 kPa나 psi입니다.
타이어의 압력 및 온도는 주행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타이어 공기압 주입 시 차종별 규정 공기압 확인 후 주입 기준을 준수하여야 합니다.
또한 냉간 조건에서 타이어 공기압 주입을 권장하는 추세입니다. 즉 정차 1시간 이후에서 공기압 측정 및 주입을 말합니다.
구분 | 냉간 조건(정차 1시간 이후) | 열간 조건(정차 1시간 이내) |
동절기( 10월 ~ 4월 ) | 규정 공기압 | 규정 공기압 + 3 psi |
하절기( 5월 ~ 9월 ) | 규정 공기압 + 3 psi | 규정 공기압 + 5 psi |
현대자동차 차량마다 공기압 매뉴얼을 표시하였습니다.
아반떼 CN7
아반떼 hybrid
그랜저IG Hybrid
그랜저 IG
그랜저 GN7 HEV
이상으로 자동차 공기압 셀프로 해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현대자동차의 대표적인 차종 공기압을 적어두었지만 본인의 차량이 없다면 차량 이름과 공기압으로 검색하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니 차량 공기압 확인하셔서 겨울철 안전 운행하시길 바랍니다.